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게이츠 '마지막 임무'…퇴임 앞두고 아프간 전장 방문

년 12월 18일 로버트 게이츠(사진)는 펜타곤(국방부 청사)에서 미 국방장관 취임선서를 했다. 바로 다음 날 게이츠는 장관 전용기를 타고 바그다드로 향했다. 이라크에서 전쟁을 수행 중인 미군을 찾아 격려하는 것으로 장관 임무를 시작한 것이다. 그랬던 게이츠가 30일 4년 반 동안 일했던 국방장관 자리에서 물러난다. 퇴임 전 그가 마지막으로 찾은 곳 역시 전장이었다. 게이츠는 23일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부근 미군 기지를 방문해 200여 명의 미군 장병에게 "여러분의 희생에 마지막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러 왔다"고 말했다. 퇴임을 앞둔 게이츠 장관의 현장 리더십이 미 공직사회에 귀감으로 등장했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게이츠는 임기 동안 이라크를 13회 아프가니스탄을 10회 방문했다. 매년 2~3회씩 위험을 감수하며 전쟁 지역을 방문해 미군 장병을 격려한 것이다. 특히 추수감사절과 크리스마스 등 미국의 주요 명절 때마다 게이츠는 이라크.아프간에 있었다. 게이츠가 임기 동안 방문한 나라는 모두 153개국(중복 방문 포함) 방문기간은 282일에 달했다. 약 106만㎞를 날았다. 미 전역의 주요 군기지 방문을 제외한 통계다. 게이츠는 한국도 다섯 차례나 찾았다. 천안함 사건 여파가 한반도를 뒤덮었던 지난해 7월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과 함께 판문점을 방문해 한.미 동맹의 굳건함을 증명했다.

2011-06-28

게이츠 "정보누설 싫지만…워치독 언론 존경"…퇴임 앞두고 고별 기자회견

"나는 그 누구보다도 정보 누설(leak)을 싫어했다. 그러나 미국 국민을 대표한 감시견(watchdog)으로서의 언론의 역할에 대해선 커다란 존경심을 가지고 있다." 로버트 게이츠(사진) 국방장관은 16일 펜타곤 브리핑룸에서 출입기자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다음 달 퇴임을 앞두고 진행한 고별 회견에서다. 연단에 올라선 게이츠 장관은 "마지막으로 국방부 기자단에게 몇 가지 할 말이 있다. 다 좋은 말이니 너무 걱정은 말라"는 농담과 함께 자신이 느꼈던 정부와 언론의 관계에 대해 소회를 토로했다. 그는 "4년반 전 국방장관에 막 취임했을 때 군과 언론의 관계에 대해 많이 우려했다"며 "대부분 상호 불신과 증오로 특징 지어진 이 관계는 늘 어려운 과제였다"고 말했다. 게이츠 장관은 그러나 "장군에서 사관학교 생도들에 이르기까지 말할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들에게 각인시킨 게 있다"며 "꼬치꼬치 캐묻는 언론이나 의심 많은 언론조차 헌법에 규정된 자유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파수꾼이며 그래서 그들을 적으로 대하지 말라는 점이었다"고 말했다. 게이츠 장관은 재임 초기 군 내부 관료주의의 문제점을 지적한 탐사 보도를 통해 언론의 역할을 실감했다며 월터 리드 육군병원의 미숙한 부상병 치료 실태 보도 등을 예로 들었다. 그는 "이 같은 내용은 오로지 언론 보도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이라며 "이후 이 문제는 나의 최우선 정책 과제가 됐다"고 회고했다. 이어 "지난 4년반 동안 내가 읽었던 기사들이 항상 좋았던 것은 아니다"며 "그러나 언론은 나에게 펜타곤 건물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내게 말해주지 않는 문제점들을 깨닫도록 하는 통로였다"고 고마움을 나타냈다. 게이츠 장관은 "국방부에서 기자들이 취재활동을 하는 게 항상 쉽지 않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관료 시스템과 보안체제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적절한 때에 얻는 것은 언론에 늘 도전이고 이는 나도 함께한 도전이었다"며 "바로 그 점 때문에 언론의 프로페셔널리즘과 거친 질문 고된 노력을 고맙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방부 출입기자들은 게이츠 장관에게 "국방장관 취임 뒤 정기적으로 브리핑룸 연단에 서겠다는 약속을 지킨 사실에 대해 감사하다"는 뜻을 전했다. 게이츠 장관은 이날도 미국과 파키스탄 관계 등 출입기자들의 질문에 성심껏 답했다. 이어 함께 군을 이끌어온 마이클 멀린 합참의장 등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는 것으로 마지막 회견을 마쳤다.

2011-06-17

[대통령 8명 모신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 "너무 많은 경험이 때론 방해"

8명의 대통령 밑에서 공직 생활을 계속해 왔던 로버트 게이츠(사진) 국방장관이 1일 너무 많은 경험은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6월말 물러날 예정인 게이츠 장관은 퇴임을 앞두고 폴리티코와 가진 인터뷰에서 "내가 이 자리를 떠나는게 옳다고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는 때때로 너무 많은 경험은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면서 "(경험이 많아서) 너무 신중해 질 수 있다"고 밝혔다. 사실상 고별 해외순방격인 아시아.유럽 방문길에 오른 게이츠 장관은 국방장관 전용기 내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게이츠 장관은 최근 미국의 리비아 사태 군사적 개입에 반대했고 오사마 빈 라덴 사살 작전 당시에는 정보의 정확성에 강한 의문을 품기도 했었다. 올해 67세인 그는 퇴임 후 워싱턴주 시애틀 북부의 호수가 바라보이는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다. 그는 2권의 책을 쓸 예정인데 우선 먼저 쓸 책은 최장수 장관 중 한 명으로 기록된 국방장관 시절과 관련된 자서전이다. 또 다른 책은 조직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리더십 관련 책이다. 그는 자신의 자서전은 대통령선거가 끝난 뒤에 발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대선이 있는 해에 정치바람을 타지 않기 위해서라고 했다. 그는 "내가 여기에서 떠난 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최소한 어느 정도 동안 입을 다물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지 부시 행정부 시절인 2006년 12월 국방장관직에 취임한 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국방장관직을 맡은 게이츠의 재임은 벌써 4년반이 다 되었다. 그는 자신과 오바마 대통령이 리비아 군사개입을 두고 이견이 있었음을 솔직히 시인했다. "2년반 만에 한 번 이견이 있는 것은 나쁜 것은 아니잖아요." 그는 또 빈 라덴 사살 작전 당시 빈 라덴이 은신처에 정말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이유도 말했다. 그는 "나도 우리가 행동을 해야 한다는 사실은 알았다"면서 "나의 우려는 우리가 거기에 갔을 때 그(빈 라덴)가 없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였다"고 말했다. 게이츠는 또 "집단적 생각보다 더 낫게 대통령이 일할 수는 없다"면서 열린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초 군 지휘부를 만난 자리에서 말했던 일화를 소개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내가 당신들을 비난할 유일한 일이 있다면 다른 생각이 있는데 나 한테 말하지 않을 경우'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오랜 공직 생활 등을 통해 터득한 처세술의 일부도 소개했다. 너무 잘난체 말라는 것이 첫번째였다. 게이츠는 린든 존슨 대통령 시절인 1966년 중앙정보국(CIA)에 들어간 뒤 빌 클린턴 대통령 때를 제외하곤 다른 8명의 대통령 시절 모두 공직을 맡아왔다. 신복례 기자

2011-06-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